티스토리 뷰
목차
지방은 제사에서 조상님을 기리는 종이로, 정성과 예를 담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지방의 규격, 작성 순서, 한자 풀이와 예시를 간단하게 정리했습니다.
지금부터 지방 작성법을 하나씩 따라가 보세요!
🔻최대 100만원, 신청한 사람만 받을 수 있습니다!🔻
1. 지방의 규격과 준비
- 규격: 폭 6cm, 길이 22cm의 한지 또는 백지 사용
- 위치:
- 돌아가신 아버지(고위)는 왼쪽
- 돌아가신 어머니(비위)는 오른쪽
- 한 분만 계신 경우 중앙에 작성
2. 지방 작성 순서
① 첫 줄: 존칭과 관계
- 顯(현): 고인을 존경하는 뜻으로 사용
- 考(고): 돌아가신 아버지
- 妣(비): 돌아가신 어머니
- 할아버지는 조고, 할머니는 조비로 표시
- 예시:
- 顯考 → 존경하는 돌아가신 아버지
- 顯妣 → 존경하는 돌아가신 어머니
② 둘째 줄: 고인의 직위와 이름
- 특별한 관직이 없을 경우: 學生(학생) 사용
- 여성의 경우: 孺人(유인)과 본관 성씨 기재
- 관직이 있으면 해당 직위(예: 郞官)를 사용
- 예시:
- 學生府君 → 관직이 없는 남성
- 孺人金氏 → 김씨 본관의 여성
③ 셋째 줄: 신위
- 마지막 줄에는 항상 神位(신위)를 적어 고인의 영혼을 기립니다.
3. 지방 작성 예시

1) 아버지의 지방 (관직 없음)
顯考學生府君神位
- 풀이: 존경하는 아버지(학생부군)의 신위
2) 어머니의 지방
顯妣孺人金氏神位
- 풀이: 존경하는 어머니(김씨 본관)의 신위
3) 관직이 있는 아버지의 지방
顯考郞官府君神位
- 풀이: 존경하는 아버지(낭관부군, 관직 있음)의 신위
4) 한 분만 계신 경우
顯考學生府君神位
- 풀이: 아버지의 신위만 중앙에 작성
4. 지방 작성 꿀팁
- 한자 확인: 고인의 관계와 직위에 맞는 한자를 사용합니다.
- 글씨 정성스럽게 작성: 한 자 한 자 또박또박 깔끔하게 써야 합니다.
- 집안 전통 준수: 지방 쓰는 방식이 집안마다 다를 수 있으니 어른께 확인하세요.
- 예시 참고: 위 예시를 활용해 상황에 맞게 작성하세요.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지방에 사용하는 종이는 꼭 한지여야 하나요?
A: 전통적으로 한지를 사용하지만, 백지 등 깨끗한 종이도 사용 가능합니다.
Q2. 관직이 있는 경우 어떻게 작성하나요?
A: 학생 대신 해당 관직(예: 郞官)을 작성합니다.
Q3. 여성의 본관은 어디에 기재하나요?
A: 孺人(유인) 다음에 본관 성씨를 적습니다(예: 金氏, 李氏).
🔽함께보면 도움되는 정보🔽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