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

여러분의 2025년 연말정산 환급금액, 신용(체크)카드 및 현금영수증이 결정합니다!

 

본인 뿐만 아니라 기본공제 대상자의 신용(체크)카드 및 현금영수증만 제대로 챙겨도 세금을 확 줄일 수 있습니다.

 

13월의 월급을 결정하는 '신용(체크)카드 및 현금영수증' 정보 확인하고,  아래 링크에서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통해 환급액 조회해 보세요.

 

 

🔻13월 월급은 얼마일까요? 단, 1분이면 충분합니다.🔻

 

 

1. 신용(체크)카드 및 현금영수증 개정내용

 

 

2025년 연말정산에는 신용카드 사용금액 증가분에 대해 10% 소득공제가 새롭게 도입되었습니다.

 

뿐만 아니라 전통시장 및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공제율도 대폭 높아졌습니다. 개정된 상세한 내용은 아래표를 참조해 주세요.

 

현행 개정
●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

- 신용카드 : 공제율 15%

- 현금영수증 및 체크카드 : 30%

- 도서, 공연, 미술관 등 : 30%

- 전통시장 : 40%

- 대중교통 : 40%
(24.1.1~24.12.31 사용분: 80%)


● 신용카드 사용증가분 추가공제

- 신용카드 : 공제율 15%

- 현금영수증 및 체크카드 : 30%

- 도서, 공연, 미술관 등 : 30%
(24.4.1~24.12.31 사용분: 40%)

- 전통시장 : 40%
(24.4.1~24.12.31 사용분: 50%)

- 대중교통 : 40%
(24.1.1~24.12.31 사용분: 80%)

-24년 신용카드 사용증가분 : 10%

● 대상 : 총 급여 7천만원 이하자만 적용

●23년 신용카드 사용액의 105%를 초과하는 금액

 

 

2025년 연말정산 대변화! 소득공제·세액공제 혜택 대폭 증가! 자녀·교육비·주택공제까지 전반적으로 확대되며, 더 많은 절세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.

 

올해 놓치면 큰 손해! 아래 블로그에서 새로운 공제항목 확인하고 세금 확 줄이세요.

 

 

🔻놓치면 후회할  2025 연말정산 팁, 아래 블로그에서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!🔻

 

 

 

2. 신용(체크)카드 등 소득공제 요건

 

● 대상 : 근로자 본인 및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배우자, 직계비속, 입양자, 직계존속(나이제한 없음)의 신용카드 등 산용금액(형제,자매 등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은 공제대상이 아님)

 

● 기준: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금액 : ① 일반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금액 + ② 추가공제

 

① 일반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금액 : MIN(㉮ 공제가능 금액, ㉯ 공제한도)

 

㉮ 공제가능 금액 : 총급여액의 25%를 초과하는 금액 중 다음의 공제율 곱하여 산출한 금액

 

결제수단 신용카드 직불카드
현금영수증
도서공연 등 사용분 전통시장 대중교통 신용카드
사용증가분
공제율 15% 30% 1월~3월
30%
4월~12월
40%
1월~3월
40%
4월~12월
80%
80% 10%

 

 

㉯ 공제한도 : 총급여수준별 차등적용

7천만원 이하  7천만원 초과
연 300만원 연 250만원

 

 

② 추가공제 

 

공제한도 초과금액이 있는 경우 전통시장, 대중교통, 도서공연비 등 사용분 공제금액 합계액에 대해 연 300만원을 한도로 추가공제 적용합니다.

 

단, 총급여액 7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연 200만원 한도로 추가공제 적용합니다.

 

 

3. 소득공제 신청방법

 

신용/체크카드 소득공제 신청 방법

 

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이용 내역은 자동으로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. 다만, 공제를 받기 위해 알아야 할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1️⃣ 사용 내역 확인 : 국세청 홈택스 또는 카드사에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연간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2️⃣ 별도 신청 필요 없음 : 카드 사용 내역은 카드사가 자동으로 국세청에 전달하므로 별도 신청 없이 연말정산에 반영됩니다.

 

 

현금영수증 소득공제 신청 방법

 

현금영수증을 통한 소득공제는 아래 단계를 따라 진행하세요.

 

1️⃣ 현금영수증 발급 요청 : 물건 구매 시 카드 대신 현금으로 결제한 후, 판매자에게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합니다. 휴대폰 번호나 개인식별번호를 제시하면 발급이 가능합니다.

 

2️⃣ 소득공제 등록 여부 확인 : 국세청 홈택스에 로그인하여 현금영수증 사용 내역을 확인합니다. 국세청 사이트를 통해 미발급 신고도 가능합니다.

 

3️⃣ 소득공제 신청: 현금영수증 사용 내역은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 소득공제율은 신용카드와 동일하며, 전통시장 및 대중교통 사용 시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.

 

 

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방법

 

1️⃣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합니다.

 

2️⃣ "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" → "소득·세액공제 자료 조회" 선택합니다.

 

3️⃣ 카드 및 현금영수증 사용 내역 확인 후 연말정산 자료에 반영되었는 확인합니다.

 

 

🔻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가기🔻

 

 

 

 

4. 과다공제 대표 사례

 

● 형제자매(기본공제대상자 포함)가 사용한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은 공제 불가합니다.

 

● 연간소득금액이 100만원을 초과하는 배우자 등의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은 공제 불가합니다.

 

●  맞벌이 부부가 자녀의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을 중복하여 공제 불가합니다.

 

NEW 2025 연말정산 신용(체크)카드 및 현금영수증 공제 확대내용

 

반응형